Table of Contents(12)
-
01. 더미탄 탄피 광택 실험 : 드레멜 vs 피칼 vs 철분제거제 vs 알코올
* 본문에 나오는 모든 탄알은 더미탄이며 장난감입니다. 더미탄 광내기 비교기입니다. 1번, 로타리툴(드레멜) + 컴파운드 2번, 피칼 (치약타입) 3번, 다_소 녹제거제 4번, 83% 알콜 * 본문에 나오는 모든 탄알은 더미탄이며 장난감입니다. * 본문에 나오는 모든 탄알은 더미탄이며 장난감입니다. * 본문에 나오는 모든 탄알은 더미탄이며 장난감입니다. * 본문에 나오는 모든 탄알은 더미탄이며 장난감입니다. #1. 드레멜은 기본세트에 광택재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축을 장착하고 면에 컴파운드를 적당히 묻힌 다음에 바이스 등에 더미탄을 고정하고 작업하면 됩니다. 더 밝아보이는 것이 드레멜 작업을 한 더미탄입니다. * 본문에 나오는 모든 탄알은 더미탄이며 장난감입니다. * 본문에 나오는 모든 탄알은 더미탄이..
2021.08.27 -
08. 탄알이 이동하는 경로
#1. 아래는 제가 가지고 있는 에어콕킹 라이플 중 3가지 입니다. 위에서부터 제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실버백사 HTI : 방아쇠보다 뒤쪽으로 탄창을 결합하는 불펍방식 어드벤처포스사 넥서스프로 : 스폰지탄을 사용하는 블래스터 실버백사 TAC41p : VSR10과 비슷한 구조를 가진 기본방식 탄알이 장전되고 힘을 받아 나아가는 과정은 모두 동일 합니다. 그 과정을 한번 알아보면 어느 부분이 중요하고 또 문제발생 가능성이 높은지 생각해볼수 있습니다. 외부의 스코프(장난감), 양각대, 소음기와 소염기 등 치장을 제외하고 생각해 봅니다. #2. Ib - C - N 발사직전 탄알은 홉업효과를 받기 위해 챔버(주황색) 내부의 고무버킹과 비슷한 위치에 있어야 합니다. 탄은 홉업에 의한 역회전을 받은 이후로는 되도록 ..
2021.08.27 -
07. 운동량(Momentum)과 충격량(Impulse) Part 2
#1. 공기의 덩어리 vs 플라스틱공 운동량-충격량에 대한 내용을 에어소프트에 적용할때 생각해봐야할 점이 있습니다. 위 물리법칙의 전제는 마찰력이 없는 수평공간에서 질량이 정해진 고체간의 움직임에 대한 내용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저 법칙을 적용할 곳은 '기체'의 충격량을 통해 '고체'의 운동량을 변화시키고, 심지어 '그 고체'는 여러 방해요인이 많은 험난한 긴 튜브(이너배럴)를 지나 세상 밖으로 나가 적당히 작아진 운동량을 가지고 최대한 멀리 그리고 정확하게 목표를 향해 날아가야 하는 상황입니다. 다음과 같은 생각의 흐름을 가져보겠습니다. 동일한 힘을 지속적으로(consistent) 만들어줄 수 있는 소모가 덜한 객관적 수치의 스프링: Oil-tapered 공기를 압축시켜 만든 압축공기의 힘: 이것을 좁..
2021.08.27 -
06. 운동량(Momentum)과 충격량(Impulse) Part 1
#1. 운동량과 충격량 마찰이 거의 없는 공간에서 쇠구슬 2개를 가지고 실험을 합니다. 쇠구슬 A를 굴려 정지해있던 쇠구슬 B와 충돌시키고 이때 접촉이 발생하는 짧은 순간의 시간을 t초라 한다면, A의 질량이 m, 이동시 가속도를 a라고 하면 F=ma, 충격량(Impulse)=(힘)x(접촉시간)= Ft = mat 충돌 이후 질량 m인 B가 속도v로 이동했다면, 이때 발생하는 운동량(momentum)= (질량)x(운동속도)= mv 이때 '운동량 보존의 법칙'에 의해, 정지해있던 B는 오롯이 다가온 A로부터의 충격량만큼 운동량을 가지게 됨 보통 질량은 정해져있으니(m=상수), 이것은 '충격량이 클수록 이동하는 물체의 속도가 커진다'라고 이해 충격량을 최대화 하기 위해 힘(F)의 크기를 강하게 하거나, 힘의 ..
2021.08.03 -
05. 베르누이 원리(Bernoulli theorem) & 매그너스 효과 (Magnus effect) Part 2
#0. 앞서 베르누이 원리에 대한 1편의 글을 읽고 오셔도 좋습니다. 2021.08.03 - [Theory] - 04. 베르누이 원리(Bernoulli theorem) & 매그너스 효과 (Magnus effect) Part 1 #1.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탄알의 상승을 주도하는 효과를 설명하는 것으로 매그너스 효과도 있습니다. 매그너스는 독일의 과학자로 1852년 대포알의 탄도를 연구하던 중 매그너스 현상을 발견하였습니다. 이는 회전운동을 하는 물체에서 그 주변부에 '상대적인 속도차이'가 발생할때 그 운동의 수직인 방향으로 물체에 힘이 작용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아이러니 하게도, 매그너스가 연구하려 했던 실제 총알이나 포탄에서는 화약의 폭발력에 의해 매우 빠른 속도로 물체의 이동이 진행되어 매그너스 효과..
2021.08.03 -
04. 베르누이 원리(Bernoulli theorem) & 매그너스 효과 (Magnus effect) Part 1
#1. 오늘은 탄알을 '더 멀리' 보내기 위해 상당히 중요한 홉업과 관련된 개념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홉업의 의미 탄알을 발사시킬 때 그것에 역회전을 걸어 탄이 이너배럴 밖으로 나가는 순간 매그너스 효과를 이용하여 탄알의 운동방향에 변화를 주어 탄을 상승시키고 결과적으로 전체 진행되는 사정거리를 증가시키는 것 홉업의 개념은 상당히 방대하여 추후 다른 글에서 정리를 해보고, 오늘은 홉업이 생기게 하는 물리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2. 베르누이란 스위스의 과학자로 1738년 유체의 흐름, 기체와 열의 운동에 대한 내용으로 '유체동역학(hydrodynamica)'란 책을 썼습니다. 우리가 이야기할 압축공기 역시 이상기체(ideal gas)는 아니지만 이 원리에 적용을 받습니다. 이것을 통해 현대과..
2021.08.03